Hierarchical Risk Parity (HRP)의 핵심 전략은
- 여러 번에 걸친 weight allocation을
- 자산 간 상관관계에 기반한 Clustering을 통해 수행하는 것
이라고 본다. (만든 사람은 어떨지 모르겠으나 말이다.)
아무튼 이와 같은 과정은 다음 세 가지 단계,
Stage 1: Tree Clustering
Stage 2: Quasi-Diagonalization
Stage 3: Recursive Bisection
을 통해 수행된다.
위의 세 stage는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.
Stage 1: 공분산행렬에 기반한 Clustering을 수행한다.
Stage 2: Weight Alloction을 쉽게 하기 위해 Asset을 Clustering 결과에 따라 재배열한다.
Stage 3: 재배열된 Asset 순서에 기반하여 Weight Allocation을 수행한다.
여기까지는 그냥 ‘아, 이런 게 있구나~.’ 하고만 읽으면 된다.
아이디어가 신선해서 그렇지, 어려운 내용은 아니다.
앞으로 차근차근 듣다보면 이해가 갈 것이다.
공부 : 금융공학, 금융, 통계, 공학, 경제 등